생성형 인공지능
미드저니
장점
- 서툴러도 그럴듯한 결과물
- 강력한 인페인팅 기능
- 미적 감각이 탁월함
단점
- 인터페이스가 불친절함
- 생성된 이미지를 재현하기 쉽지 않다
- 일관성 이슈가 있다
DALL·E3
- 가장 오래된 서비스 중 하나
장점
- 무료
- 지시사항을 잘 이행함
- 단어(text) 생성 가능
- Chat GPT 내에서 직접 사용 가능 (색칠, 벡터, 로고 등을 만드는 데에 능숙함)
Adobe Firefly
장점
- 사실적인 표현에서 모든 생성형 AI를 능가함
- 저작권 이슈 없음
- 사물과 사람의 일상적인 사진을 만드는 데에 특화됨
- 실제 사진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의 퀄리티
- 실사진을 확대하거나 보정할 때 유용하다
단점
- 몹시 비싸다
Stability.ai
장점
- 다른 생성형 AI가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할 수 있음
- 오픈소스 기반으로 많은 기능이 빠르게 추가됨
- 사용법이 매번 바뀌며 파편화 되어 있음
특징
- 좋은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투자가 필요하다
- 로컬 사용 시 하드웨어 성능을 많이 탐
- 일반 사용자는 디퓨전 모델이 필요 없음 (전문가에게는 메리트)
생성형 AI의 기타 활용
Copilot
- 마이크로소프트가 생각하는 AI의 미래
- Windows에 기본 탑재 월구독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 MS Office와 혼합하여 생산성 극대화
Github Copilot
- OpenAi사의 Codex 기반의 자동코딩 생성
- 전세계 개발자가 깃허브를 통해 공유한 코딩내용을 바탕으로 학습
- 월사용료 10불에 주석을 코딩으로 바꿔주는 서비스 이용 가능
- 코딩 수준이 굉장히 높음
HyperCLOVA X
- 네이버의 클로버 서비스의 통합 버전
- 한국 환경에 최적화
- 기업생산성, 쇼핑 등의 플랫폼과 연동
좋은 질문을 하는 8가지 방법
생성형 AI 사용을 위해서는 질문의 방법이 중요하다.
1. 8살 천재 아이처럼 다루자
- 방대한 지식은 있지만, 경험이 없어서 우리가 하는 말을 못 알아듣는다.
2. 지시는 구체적으로
- 재미있는 영화를 추천해줘 = 모호한 질문
- 2024년 개봉된 영화 중에 인기 순위 10개를 추천 해 줘 (시점/ 숫자)
3. 명확한 단어를 사용하기
- 중의적이고 모호한 단어는 당연히 잘못된 답을 내놓음
4. 질문의 맥락이나 배경정보를 주자
- "ㅁㅁㅁ"로 삼행시를 지어줘 라고 하면 잘 모름.
- 다른 삼행시를 알려주고 위와 같은 삼행시 형식으로 지어달라고 하면 잘 알아듣는다.
5. 국어 선생님과 이야기하듯 문장은 올바른 형식으로
- 유행하는 단어나 줄임말, 어순이 틀리면 잘 모름 (독해력이 중요함)
6. 질문이 구체적으로 떠오르지 않으면 개방형 질문
- "[궁금한 점을 기억나는 대로 씀]을 알고 싶어"
7. 사건을 해결하는 탐정처럼
- 한 번에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는다.
- 스무고개 하듯이 질문을 하거나, 질문에 추가적인 정보를 계속 제공하자..
8. 모든 답변은 검증이 필요하다.
- 할루시네이션이 있음.
- 완전 아무말이나 하는 거짓말쟁이는 아니지만 조금씩 다를 수 있음.
9. 그래도 프롬프트에 자신이 없다면 오픈 프롬프트 서비스 이용하기
오픈프롬프트 | OpenPrompt
당신의 AI 경험을 한층 높여줄 국내 최고의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www.prpt.ai
Civitai: The Home of Open-Source Generative AI
Explore thousands of high-quality Stable Diffusion models, share your AI-generated art, and engage with a vibrant community of creators
civitai.com
지피테이블 - 프롬프트/GPTs 공유 DB
프롬프트/GPTs 공유 사이트 지피테이블(GPTable)과 함께 챗GPT,바드,클로바X 활용을 200%로 올려보세요.
www.gptable.net
- 생성물에 따라 프롬프트 서비스가 다름 (특화되어 있다.)
- 관련 서비스는 계속 늘어나는 중.
생성형 AI의 활용
- AI가 말하는 법 (Text2Image), Text2Img가 시작점
- Diffusion 모델은 프롬프트가 가장 중요함
- LLM (거대 언어 모델), Img2Img 프롬프트가 활성화 되는 추세
스테이블 디퓨전의 프롬프트 작성 규칙
- 문장이 아니라 키워드로 입력
- 중요한 내용은 앞에 배치
- 괄호는 모든 것에 최우선. 최대 3개까지 중첩 가능, 많을 수록 가중치
- 대문자 AND를 활용할 것 (벛꽃 AND 나무)
- 대문자 BREAK를 사용해서 프롬프트 적용범위를 끊어준다.
- 프롬프트 에디팅을 사용한다 [cat:dog:0.5] = 50%
Stable Diffusion 사용법
Sampling method
- 샘플링 방식을 선택, model마다 권장하는 샘플링 방식이 있다.
- 일반적으로 퀄리티가 좋은 DPM++ SDE Karras를 사용한다.
CFG Scale
- Prompt를 얼마나 반영하는지에 대한 수치
- 수치가 적을수록 AI의 자유도가 올라가서 명령을 무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모델마다 적정 수치가 있지만, 기본값에서 바꾸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다.
Stable Diffusion 기능
Stable Diffusion은 오픈소스로 다양한 확장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 Tagger for Automatic 1111's Web UI : 이미지 분석, 프롬프트 생성
- Pose Editor, Pose X : 포즈를 지정하거나 추출
- Ddetailer : 얼굴 수정, 얼굴 업스케일
- Latent Couple(two shot diffusion port) + Composable LoRa : 두명 이상의 사람에게 각각 프롬프트 적용
- AnimateDiff : 짧은 애니메이션 생성
중간과제 안내
-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하여 콘티 제작/발표
- 게임의 오프닝 영상(시네마틱)을 만들자.
영상 시청 - Best CINEMATIC Trailers of 2023 with CRAZY NEXT GEN 4K Graphics
https://youtu.be/8PWWdrlT3q4?si=m2naSNZVRPrYzYfN
콘티랑 시나리오는 기획자가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게임 연출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시네마틱은 "우리 게임은 어떤 게임이야"를 이야기 하고자 하는 목적이 뚜렷하다.
- 세계관과 서사를 중심으로 할 것인지, 게임 진행이나 흐름을 중심으로 할 것인지.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하여 스토리보드 제작/ 발표
게임의 오프닝 영상(시네마틱)을 만들자.
콘티와 스토리 보드의 차이점
- 현장에서는 콘티와 스토리보드를 구분 지어 사용하지 않는 경향
- 스토리보드는 투자자나 제작자에게 시행되는 PT(프레젠테이션)용에 적합하다.
- 콘티는 감독이나 주요 연출진을 위한 작화 및 제반 연출에 관련된 시나리오의 일종이다.
- 스토리보드와 콘티는 그것을 주로 접하는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서 확연히 구분된다.
스토리보드
대개 CF나 아주 단편적인 홍보 및 상업적 영상작업에서 통용되며 주요 장면이 세부 스케치나 깔끔하게 컬러링된 작화와 함께 그 의도 및 줄거리를 간략히 소개하는 텍스트가 첨가되어 만들어짐.
- 의도 및 줄거리 :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GPT, 바드)
- 그림 : 스테이블 디퓨전
컨셉기획
- 스토리 시놉시스 (Chat GPT, 바드 등 대화영 AI 활용 가능)
- 시놉시스를 스토리 보드로 제작 (이미지는 Stable Diffusion, 미드져니, Dall-E, Novel AI 등을 활용하여 생성)
- 발표용으로 작성
- 마지막에는 이미지 생성에 사용한 프롬프트 추가 (컨닝 방지용)
채점 기준
- 참신성 20
- 컨셉기획 작성능력 20
- 발표능력 10
- 상호평가 50
주의사항
- 사용된 이미지는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아야 한다. (과도한 노출, 신체기형 등)
- 이미지 생성에 사용된 프롬프트는 과제 제출 마지막 페이지에 추가할 것 (컨닝 방지, 이미지 : 프롬프트 형식 포지티브/네거티브 프롬프트 모두 기입)
- AI 서비스는 무료서비스 사용을 권장 (과제 때문에 결제하지 마세요)
- 상호평가 시행 (스토리보드의 완성도와 참신함을 합산하여 배점)
제출 관련 공지
- 제출 방법 : LMS 9주차 과제 게시판
- 일시 : 9주차 수업전일 23시 55분 (제출 시 기본점수, 시간이 늦을 경우 감점 처리)
- 문서 포맷 : PDF
- 파일명 : "인공지능설계_학번_이름.PDF" 파일명 지키지 않을 시 감점
- 분량 : 자유
- 제출 : LMS
안 보고, 보여주지 말 것!
유사 답안으로 의심되면 보여준 사람, 본 사람 모두 0점
Stable Diffusion, 구글 Colab(느림) 사용 방법 검색 해 볼 것.
연출 관련 추천 책
- 마스터 숏 : 감독의 비전
- 마스터 숏 : 저예산으로 명장면을 만들 수 있는 100가지 연출과 촬영 기술
'대학생활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프·문 7주차 - 개인 일지 (0) | 2024.04.24 |
---|---|
알렉산더테크닉 7주차 (0) | 2024.04.22 |
게임음악편곡법 7주차 - 보사노바 (0) | 2024.04.18 |
게임인공지능설계 6주차 - Fuzzy (1) | 2024.04.11 |
게임음악편곡법 6주차 - 기타 MIDI 심화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