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수업

게임음악작곡법 12주차 - Scales, 리듬의 유지, 음정의 변환, Repetition, Sequence, Inversion, Shorten Motive, Length the Motive

by se.jeon 2023. 6. 8.
728x90
반응형

교재 학습

아르페지오

코드의 음을 세개 쓰는 것

Lesson17

Scales (스케일)

사이의 주변음을 활용해서 부드럽게 연결하는 것

상승하고 하강하는 형태가 받아들이기 쉽고 외우기 쉽다.

Lesson18

리듬의 유지, 음정의 변환

- Arpeggio Up

-Scale Down

- Zig-Zag

- Lead Up

 

허밍을 해 보면서 음악적 아이디어를 가공 해 나가야 한다.

음악적 아이디어 없이 임의로 찍어 감을 잡으며 만드는 음악은 장기적으로 좋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Lesson19

Repetition (레페티션)

동일한 선율을 반복하고 코드를 바꾸는 것. 단음에 의한 아이디어가 다른 코드 위에서 반복될 수가 있다.

지루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한다.

Lesson20

Sequence (시퀀스)

코드와 선율이 똑같은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

비슷한 아이디어가 코드를 따라 높낮이가 달라진다.

Lesson21

Inversion (인버전)

거꾸로된 시퀀스.

다른 코드의 코드 톤 위에서 아이디어를 스타트하고, 멜로디 음형의 방향을 반전시키기도 한다.

 

Lesson21의 예시 음악 (CD36) : 라인클리셰 + 패싱노트 사용됨. 굉장히 세련되게 만들 수 있다.

Lesson22

Shorten the Motive (모티브 단축)

음악적 아이디어를 쪼개서 부분으로 나누어 응용한다.

짧아진 모티브의 경우는 그 안에서 강세를 갖는 단어들이나 음절들 역시 줄어든다.

Lesson23

Length the Motive (모티브 연장)

음악적 아이디어의 끝까지 음이나 강력한 어휘를 추가, 삽입하는 것.

더욱 강한 단어나 어휘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비 화성음 (None Chord Tone)

비 화성음의 종류는 10개가 넘게 있다. 하지만 외울 필요는 없다.

A.V 배울 때 CMajor는 파를 쓰지 않음을 배웠다. 반음이기 때문에.

 

A.V 노트를 쓰면 안되는 타이밍

이 타이밍이 아니라면 써도 좋다. 이 타이밍이란 무엇인가?

 

Down Beat 안됨

이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코드가 바뀌는 모든 부분은 Down Beat이다.

- 마디 처음 안됨

 

순차(Step) 진행과 도약(Skip) 진행 

- 순차 진행 : Melody가 장.단.2도로 진행하는 것.

- 도약 진행 : Melody가 장.단.3도 이상의 음정으로 진행하는 것.

 

비화성음의 종류

1. 경과음 (Passing tone)

a. 약박자에 나타난다.

b. 순차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로 나타난다.

c. 같은 방향으로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원음)으로 진행한다.

 

3도가 넘어가면 도약.

도 > 레 : 순차

도 > 미 : 도약

 

2. 보조음 (Auxiliary tone)

a. 약박자에 나타난다.

b. 순차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로 나타난다.

c. 반대 방향으로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원음)으로 진행한다.

*(음성 필기 다시 볼 것)

 

3. 선타음 (Appoggiatura)

순차 진행에서 코드톤으로 변환된다. 길면 안 된다. 짧고, 도약하면 안 된다. 주변으로 이동해야 한다.

a. 강박자에 나타난다.

b.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에 도달한다. 선타음이 경과음이나 보조음과 다른 점은 비 화성음이 강박자에 나타나 있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경과음이나 보조음은 화음이 바꾸어 졌을 때 첫 음이 일단 화성음으로 시작한 다음에 비 화성음으로 나타났으나, 선타음은 화음이 바뀌어 졌을 때 첫음부터 비 화성음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나타난 비 화성음, 즉 선타음은 반드시 아래 또는 위로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에 도달하게 된다.

 

4. 도피음 (Escape tone)

순차적으로 간 다음에, 도약으로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이 도피음.
a. 약박자에 나타난다.

b. 순차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로 나타난다.

c. 반대 방향으로 도약진행하여 화성음으로 진행한다.

 

5. 캄비아타 (Cambiata)

도피음의 반대 순서. 도약 한 후 역방향으로 순차진행.

a. 약박자에 나타난다.

b. 순차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로 나타난다.

c. 반대 방향으로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으로 진행한다.

 

6. 계류음 (Suspension) - 고급 기법

지속, 유지되다. 앞의 있는 코드 요소가 뒤까지 이어지는 것.

ex) 도미솔 > 솔의 일부가 뒤에도 이어지는 것.

 

a. 두개의 화음을 사용한다.

b. 앞의 화음 중 어떤 음(근음.3음.5음 또는 7음) 이 뒤의 화음의 강박자에 까지 남아 있는다.

c. 뒤의 화음에 남아 있는 음은 반드시 뒤의 화음과 비 화성음을 이루어야 한다.

d. 밀려나서 남아있는 비 화성음은 아래 또는 위로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에 도달한다.

7. 선행음 (Anticipation) - 고급 기법

예측, 예상. 뒤에 나올 코드를 예측해서 미리 쓰는 것.

a. 두개의 화음을 사용한다.

b. 뒤의 화음 중 어떤 음(근음.3음.5음 또는 7음) 이 앞의 화음의 약박자에 까지 남아 있는다.

c. 앞의 화음에 미리 나타난 음은 반드시 앞의 화음과 비 화성음을 이루어야 한다.

d. 미리 나타난 비 화성음은 순차진행하여 나타나야 한다.

 

8. 이중 보조음 (Double Auxiliary tone)

순차적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고 도약하여 다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원음으로 돌아가는 것.

단순 보조음이 두 개가 같이 겹쳐있는 상태를 말한다.

a. 약박자에 나타난다.

b. 순차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로 나타난다.

c. 반대 방향으로 3도 진행한다.

d. 다시 반대방향으로 순차진행하여 화성음(원음)으로 돌아간다.

 

9. 자유음 (Free)

한쪽 방향으로 비화성음을 순차한번하고 도약 한번하고 코드 톤으로 돌아가는 것.

a. 약박자에 나타난다.

b. Step > 같은 방향 > Skip > Home tone

c. Skip > 같은 방향 > Step > Home tone

 

10. Pedal tone

화음 진행에 구애됨이 없이 어떤 지정된 음을 지속 시킴으로서 발생되는 비 화성음. I, V가 가장 많이 사용됨.

 

비 화성음 사용 시의 주의 사항

a. 비 화성음의 음길이는 화성음 보다 길어서는 안된다.

b. 비 화성음의 음길이가 같은 것은 써도 좋다.

c. 비 화성음은 모든 변화기호 (# 또는 b)에도 해당된다.

 

블록 형태 코드 보이싱에 서스펜션을 주면 단조로움이 개선된다.

 

작곡 실습 진행

Sykrim : Dragonborn 오리지널 곡 midi 제작하기

Skyrim_original.wav
6.56MB

제작한 Sykrim : Dragonborn midi를 자신의 스타일로 변환시키기

Skyrim_sieun.wav
16.66MB

피드백 : 코드가 같으면 표절 의혹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코드도 더 고민하여 바꾸고, 다듬을 것.

 

과제

오늘 실습한 스카이림 파일을 AABA 형태로 수정 해 볼 것.

어려우면 카트라이더로 변경 가능. (선택)

> 기말 과제 물 AABA 32마디 형식이 나오게로 수정됨.

 

다음 주가 사실상 마지막 작곡 수업이 될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