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수업

게임기획크리틱 12주차 - 게임 스토리와 게임 시나리오

by se.jeon 2023. 5. 23.
728x90
반응형

게임 스토리

게임 스토리는 다른 미디어의 스토리와 어떻게 다른가?

게임 스토리는 플레이가 부각된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처럼 장르를 넘나드는 시도가 쉽지 않다.

 

게임 스토리의 지향점

게임 플레이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스토리인가가 중요하다.

게임으로 만들어낼 수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스토리와 게임 플레이의 제작 순서

스토리를 먼저 만들고 그 스토리로 게임을 만드는 것보다

게임을 만들고 거기에 스토리를 입히는 게 쉬운 편이다. (이미 게임 플레이를 만들어 냈으므로)

 

스토리 만드는 방법

1. 주요 사건을 기술한다.

2. 사건에 등장하는 인물을 만든다.

3. 인물 간에 갈등을 정리한다.

4. 갈등을 만들거나 해소한다.

 

Last of us 게임 시나리오 예시

1. 주요 사건을 기술한다.

좀비가 창궐하여 세상이 엉망진창

좀비 바이러스에 면역인 사람을 발견

 

2. 사건에 등장하는 인물을 만든다.

엘리 : 좀비바이러스에 면역인 소녀

조엘 : 엘리를 배달하는 임무를 가진 남자

 

3. 인물들 간에 갈등을 정리한다.

*갈등 : 칡, 등나무 - 둘은 서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자란다.

조엘은 좀비에게 딸을 잃었다.

엘리는 혈청을 추출하면 목숨을 잃는다.

- 인류를 구할 것인가?

- 엘리를 구할 것인가?

 

4. 갈등을 만들거나 해소한다.

- 갈등 해소 > 인류를 구하기 위해 엘리를 배달

- 갈등 격화 > 엘리와 동행하며 싸우게 됨

- 갈등 해소 > 공동의 적 등장. 서로를 의지하게 됨.

- 갈등 격화 > 엘리가 죽는다는 사실을 알게 됨.

- 갈등 해소 > 엘리를 구하기로 결심함.

 

처음부터 스토리를 쓰는 게 아니라 전체적인 틀을 짜고 점점 빈 곳을 채워나가는 느낌으로 작성한다.

 

타임라인 구성

1. 시간의 순서를 만들고/ 사건을 배열한 후/ 사건마다 인물을 배치한다.

2. 사건과 사건 사이에는/ 더 소소한 사건을 넣거나/ 인물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내용을 삽입한다.

 

좋은 게임스토리

1. 개연성(말이 되는가)이 있다.

2. 극적인 요소(반전)가 있다.

3. 인물의 개성이 살아있다.

4. 게임플레이 요소가 균일하다.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스토리 : 이야기 그 자체

스토리텔링 : 스토리를 이야기하는 것

 

시나리오

시나리오 = 극본, 영상의 장면을 만들기 위한 문서

스토리와 시나리오는 완전 다른 것이다.

 

장면 연출에 필요한 배경

배우의 대사, 표정, 동선, 소음, 시간, 날씨 등 환경적 요소

 

<영화 기생충의 극본>

 

게임 시나리오

게임의 장면을 만들기 위한 문서

- 장면 연출에 필요한 배경

- 캐릭터의 대사, 표정, 동선

- 소음, 시간, 날씨 등 환경적 요소

- 게임 플레이

 

게임 시나리오는 게임 플레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담아놓은 문서이다.

단순히 스토리가 아니다.

 

 

다음 지문을 보고 게임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자.

<아기 돼지 삼형제 줄거리>
셋째 돼지는 부지런했어요.
설계도를 먼저 그린 다음에 벽돌로 튼튼하게 집을 지었어요.

첫째 돼지, 둘째 돼지는 셋째 돼지 집으로 도망갔어요.
곧 셋째 돼지 집에 배고픈 늑대가 다가와서 문을 똑똑 두드리며 말했어요.

"작은 돼지야, 나 좀 들여보내 줘."
"안 돼, 안 돼, 절대 들어올 수 없어."
늑대는 훅훅 불었지만, 벽돌집은 끄떡없었지요.
늑대는 화가 엄청 났어요.
늑대는 지붕 위로 올라가서 굴뚝 아래로 내려갔어요.
그러다가 그만 펄펄 끓는 냄비 속으로 풍덩 빠졌지요!
늑대는 깜짝 놀라 도망갔어요. 

 

시나리오 > 게임 플레이

게임 시나리오는 해당 게임 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작성한 문서이다.

가장 먼저 할 일은 스토리에서 핵심 게임 플레이를 찾아내는 것

아래 부분을 게임 플레이로 만들어 보자.

늑대는 지붕 위로 올라가서 굴뚝 아래로 내려갔어요.
그러다가 그만 펄펄 끓는 냄비 속으로 풍덩 빠졌지요!

NS Shaft과 같은 게임 플레이 : 늑대가 장애물을 피해 굴뚝 아래로 무사히 내려가면 스테이지 클리어

스토리 : 늑대는 집을 부술 수 없자 굴뚝을 통해 내려가기로 한다.

배경 : 벽돌로 잘 지어진 집. 튼튼해 보인다. 굴뚝이 있다.

캐릭터 : 벽돌집 창가에 아기돼지 삼형제가 늑대를 놀리고 있다.

게임 플레이 :

- 늑대는 굴뚝을 통해 내려간다. 이동만 가능. 점프 불가.

- 장애물에 부딪히면 체력이 감소한다.
- 무사히 바닥으로 내려가면 게임클리어
- 장애물의 종류에는 가시바닥, 불바닥, 움직이는바닥 등이 있다.

 

게임시나리오를 잘 작성하면 콘텐츠 기획서의 토대가 된다.

자기 팀 게임의 게임 스토리와 게임 시나리오를 작성 해 보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