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수업

게임기획크리틱 11주차 - 인공지능

by se.jeon 2023. 5. 16.
728x90
반응형

기말고사 설명

- 6월 20일 수업전까지 팀별 작업물 제출, 발표.

- 15주차 발표의 피드백 반영하여 시스템/ 콘텐츠 기획서 작성.

- 15주차 팀 발표 결과물은 평가 안함.

- 6월 25일 일요일 24시 개인 작업물 제출.

 

강의 중간평가 피드백

 

인공지능 설계하기

- 인공지능은 눈에 보이기도 하고, 눈에 보이지 않기도 한다.

- 날씨, 환경도 인공지능에 속한다.

- 자신 스스로 컨트롤을 해서 돌아가는 것들.

- 만들어내는 시스템 중에 자동적으로 스케쥴링을 하며 돌아가는 모든 것이 인공지능.

- 정해준 스케쥴에 따라 움직인다.

- 유저가 조건을 달성하면 조건에 맞게 움직인다.

- GTA의 경우 범죄 시스템의 단계에 따라 주위 환경이 변화함.

 

게임의 인공지능과 일반 인공지능의 차이

게임의 인공지능

- 유저가 게임을 잘 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 유저가 승리감을 느낄 수 있을 만큼 강해야 한다.

- 유저가 졌을 때 도전 정신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 "결국 내가 이겼다"는 성취감을 주도록 디자인 해야 한다.

- 알파고와 같은 존재 X

 

FSM (Finite State Machine, 유한 상태 기계)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

패턴에 맞는 행동을 보여주는 기법. 특정 상황이 되면 상태를 변경한다.

시작 -> 순찰(상태) -> 적 발견(조건) -> 사격 -> HP 20퍼 이하(조건) -> 후퇴(전이) -> HP 0%(조건) -> 죽음

객체는 동시에 하나의 상태만 가질 수 있다. 조건을 만족하면 상태가 전이된다.

 

조금 더 나은 FSM 사례

행동 선택에 확률을 도입하여 의외의 행동을 하게 만든다.

- 퍼지 (Fuzzy) : 혼란한 상태

ex : 80% 확률로 HP 20% 이하

 

FSM 제작 실습

BT (Behavior Tree)

행동(Behavior)을 트리(Tree)구조로 만든 것. 행동을 논리적으로 표현한다.

BT로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BT의 경우 수행 순서가 중요하다. 왼쪽, 아래 먼저 수행.

 

BT의 5가지 요소

- root : 시작 지점

- selector : 선택 (하위 노드 중에서 하나만 실행)

- sequence : 순차 실행 (하위 노드를 순서대로 실행)

- decorator : 조건에 맞으면 하위 노드 실행

- action : 수행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