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수업

리얼타임엔진 3주차 - 시작해요 UEFN2

by se.jeon 2023. 9. 12.
728x90
반응형

1. 노션 세팅

 

2. 포트나이트 정기점검으로 인한 다른 설명 진행

언리얼 엔진에서 제작된 액터 정보를 포트나이터 에디터에서 붙여넣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매쉬가 없어 볼 수 없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되도록 migrate를 해서 전달 해 주어야 한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면 완벽하게 동일한 상태로 옮길 수 있다.

 

커스텀해서 추가 할 수 있지만, 서버에 올라가 있지 않은 커스텀의 경우 따로 다운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너무 헤비한 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포트나이트에 보면, 팀이 있다. 프로젝트를 작업하고 팀 설정을 해주면 된다. 추후 안내 예정.

여러분들이 작업한 것을 관리할 수 있고, 퍼블리싱을 해서 얼마를 벌어들였는지 확인 할 수 있다.

교수님이 컨설팅을 진행 해 줄 예정. 추석때까지 중간고사를 위한 개인 프로젝트 진행.

 

포트나이트 내장 버전 관리 툴 설명

 

3. 강의 영상 시청

시작해요 UEFN 2주차

시작해요 UEFN 2주차 강의

https://youtu.be/jXZwlWrhezM?si=rB-PJh-fq2nW3kSh 

 

지난 시간에는 UEFN의 섬 템플릿과 장치라 불리는 기록을 활용해 동전을 습득하는 게임을 제작 해 보았다.

2주차에는 다양한 장치를 활용해 무인도에서 탈출하는 데스런 게임을 제작 예정.

데스런 게임 제작하기

1. 랜드스케이프 제작 기초

2. 체크포인트 제작

3. 기믹 요소 제작

4. 게임 엔딩 구현

 

물에 빠지면 죽는 데스런 게임. 따라서 일정 해수면 아래로 플레이어가 내려가면 죽도록 설정 해 줄 예정.

 

월드 좌표 : 기즈모가 월드의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됨

로컬 좌표 : 기즈모가 오브젝트의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

 

지구 모양으로 변경 후 월드를 기준으로 하여 작업한다.

- 이동모드 W

- 회전 모드 E

- 스케일모드 R

 

뷰포트 시점을 변경하여 왼쪽 측면을 보고 작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원근 : Alt + G

- 왼쪽 : Alt + K

- 상단 : Alt + J

- 정면 : Alt + H

 

바닷물에 닿자마자 죽도록 하면 가혹하기 때문에 기준 해수면을 정해 준다.

컨텐츠 드로우를 레이아웃에 고정시켜주고,

Devices에서 피해 구역 장치를 가져온다. 게임 실행 시에는 보여지지 않는다.

리셋하여 위치를 초기화 한 이후, Z값을 -550으로 지정하여 배치하나.

 

 

UEFN에서 UEFN에서 사용하는 길이 단위는 cm이다.

포트나이트 기본 타일 크기는 512cm이다.

 

피해 구역 장치의 경우 범위에 들어오면 데미지를 입게 된다. 피해 유형을 처치로 설정하여 죽게 ㅁㄴ들 수 있다.

시간을 설정 해 주는 일일 시퀀스 장치가 있다. 레벨에 부착해서 사용 가능.

낮/밤 주기를 Fixed time으로 설정하여 시간을 고정할 수 있다.

랜드스케이프 기능

광활한 지역을 브러쉬와 텍스쳐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는 기능.

이렇게 생성된 지역은 퀄리티는 물론이고, 방대한 영역을 모바일에서도 구현 해 줄 수 있을 정도로

최적화가 잘 되어있는 강력한 기능이다.

 

무인도를 탈출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섬을 제작한다.

 

왼쪽 상단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스컬프팅 기능을 이용하여 지형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활성화된 레이어를 선택 해 주면서 작업하면 된다.

- 지형이나 하이트맵 올리기 : 좌클릭

- 지형이나 하이트맵 낮추기 : Shift + 좌클릭

 

일부 옵션의 시각화 옵션을 끌 수 있다.

Smooth 기능으로 부드럽게 다듬을 수 있다.

 

포트나이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에셋들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우리가 이것들을 사용하면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지만, 수정된 경우 서버에 바뀐 것들을 알려주는 작업을 해야 한다.

상단 바 - 변경사항 푸시 기능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모든 설저이 변경될 때 마다 항상 푸쉬를 해야하지는 않는다.

서버에 없는 머테리얼, 텍스처, 기능이 추가될 경우에만 해 주면 된다.

푸쉬한 후 플레이하면 변경된 지형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형을 색칠하는 방법

 

포트나이트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머티리얼을 사용 할 예정.

하단의 레이어가 상단의 레이어를 덮어쓰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 레이어를 삭제해서 지우면 풀 레이어가 나오게 된다.

플래튼

숫자를 직접 지정하여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점프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에 발판을 만들어 건너갈 수 있도록 배치한다.

Fortnite 폴더에서 Step으로 검색하면 다양한 기본 제공 발판들을 확인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죽으면 스폰 포인트에서 부활하게 된다.

하지만 달리는 게임에서 스폰 포인트가 시작 지점이면, 플레이어도 제작자도 불편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체크포인트 디바이스 패드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콘텐츠 브라우저 > Device 폴더 > 검색 | 플레이어 체크포인트 패드

플레이어 체크포인트는 단순히 배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등록을 해 주어야 한다.

설정에서 지정 할 수 있다.

 

사용자 옵션 - 기능의 등록 기능을 지정한다.

플러스 버튼을 눌러 인덱스에 어떤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지정 해 주면 된다.

플레이어를 On First Activation Per Player 기능으로 지정 해 두면 처음으로 도달했을 때 자동으로 등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체크포인트가 활성화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HUD를 설치한다.

체크포인트 패드와 같은 경우 푸쉬를 해 주어야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이벤트 : 장치가 작동하거나 플레이어가 행동을 수행하는 행위. 장치가 지정된 작동을 하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한다.

 

 

퍼즐을 풀어야 새로운 섬으로 넘어갈 수 있게 해 보자.

장벽을 검색해서 배치 후 장벽장치의 모습을 변경한다.

사이즈를 늘려 범위를 크게 감싸도록 설정한다.

 

환풍기 위로 올라가서 공중에 뜬 이후 발판을 밟아 숨겨진 아이템을 획득하게 해 보자.

직교 뷰에서 마우스 휠클릭 상태로 드래그를 하면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아이템 생성장치를 배치 하고, 자동 줍기 옵션을 넣어줄 수 있다.

아이템을 얻었을 경우 더 이상 장벽을 사용하지 않게 기능을 넣어줄 수 있다.

 

아웃라이너 패널에서 액터를 클릭 후 Ctrl + D를 이용하여 배치된 오브젝트(액터)를 복제 할 수 있다.

언리얼에 내장된 편리한 기능들이 있어 다수의 체크포인트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시작 후 체크포인트 정보 관리 및 발사기 추가, 스페이스 바를 이용하여 낙하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보트와 같은 오브젝트 또한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탈것 파괴 불가'와 같은 옵션의 처리를 해 주어야 한다.

 

Golf Flag Pin을 이용하여 골인 지점을 지정할 수 있다.

보정치 구역을 사용하여 근처로 이동했을 때 설정된 기능을 사용하여 게임을 종료하도록 만들 수 있다.

On Player Entering Zone 설정.

 

데스런 게임의 경우 스테미너를 무제한으로 설정 해 준다.

클래스 설계 장치를 통해서 수정 해 준다. 플레이어 설정을 지정 해 주면 된다.

클래스 설계 장치

클래스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속성이나 인벤토리를 할당할 수 있으며, IslandSetting에서 설정할 수 있다.

 

클래스 슬롯에 플레이어 속성들을 집어넣을 수 있다.

고급 옵션 하단에 보면 : 전력질주 옵션 더 보기 기능이 있다.

전력질주 초당 에너지 소모를 0으로 수정하면, 에너지 소모가 없어 계속 달릴 수 있게 된다.

 

아웃라이너 패널 내 검색 : Island Settig 액터

클래스 슬롯 1번을 지정하면 에너지 소비가 없게 설정된 클래스가 적용된다.

게임 시작 카운트다운을 내리는 옵션을 설정 할 수 있다.

게임 승자 표시 시간, 게임 점수 표시 시간을 마찬가지로 설정 해 준다.

디테일 패널 > 카메라 필터를 사용하여 카툰 형태로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이 디자인의 레퍼런스였던 게임 : Lost in blue2

 

 

https://youtu.be/emjA_i3NJeU?si=NdTVdax-SA1bhx6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