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 데이터
워드 파일은 테이블 당 하나씩 제작.
데이터 문서
0. 문서 정보, 연락처, 문서 히스토리
1. 개요
2. 테이블 정리 (컬럼들을 나열 : 컬럼 이름, 입력 값, 용도 및 위치)
- #TileData[{}] : 파싱의 시작 범위를 지정
- End_of_data : 파싱의 종료 범위를 지정
5번째 줄부터 데이터여도 시작 범위를 기준으로 파싱을 한다.
VLOOKUP을 쓸 때 값을 남겨놓는 경우가 있고, 남겨놓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파싱 할 때는 지워주는 것이 좋다.
XML은 요소 맵핑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Json이나 Csv를 사용 할 때에는 신경써야 한다
변수는 {0}과 같은 형태로 구분자를 주어 처리한다. C#과 유사한 형태.
lua와 같은 스크립트 데이터
기획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루아로 표현할 수 있다. lua는 해킹에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보완이 가능하다.
전투기획을 희망하는 사람들은 스크립트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이 좋다.
기본적인 구조 : 데이터를 가져와서 변수를 지정하고, if문과 같이 조건을 주어 데이터를 return
Excel
- Match
- Index
시스템 기획과 데이터
시스템 기획은 'How'에 대한 영역이다. 우리의 사고는 시스템 기획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
- 잘못된 예 : 플레이어가 HP 포션을 사용하면 포션에 따라 HP가 다르게 회복됩니다.
- 올바른 예 : 플레이어가 사용한 아이템의 Item_Type이 1이면 HP 포션이고, Item_Value의 값만큼 HP가 회복됩니다.
기획의 용어들이 모호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디테일하고 자세하게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시스템 기획의 'How'는 2가지 영역을 가진다.
- 알고리즘 : 구현을 하기 위한 조건. 시스템 기획서에서 많이 나온다. 어떨 때 무엇을 하면 무엇을 하는지의 정의.
- 데이터 : 구현을 하기 위한 값.
시스템 기획과 데이터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현업에서는 게임 내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값들이 데이터화 되어있다.
데이터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현업 게임 시스템 기획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 몬스터를 3마리만 만들 것인데, 몬스터 시스템을 만들고 있는 것은 낭비이다.
- MMO에서 몬스터가 잔뜩 있는데, 몬스터를 하나하나 만들고 있는 것은 낭비이다.
Gamejob을 살펴보면...
시스템 기획자는 물론, 콘텐츠 기획자/ 시나리오 기획자여도 데이터와 엔진을 다룰 수 있는 인력을 원하고 있다.
# 콘텐츠 기획자
- 우대 사항 : 데이터 관리 및 활용 경험
# 시스템 / 콘텐츠 기획, 게임 데이터 관리
- 지원 자격 : 효율적인 데이터 구조 설계 및 관리 능력, 의도에 맞는 시스템 설계 능력
# MMORPG 제반 규칙 및 시스템 설계
- 지원 자격 : 프로그래밍 지식을 바탕으로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연산 영역 및 데이터 구조 설계가 가능한 사람
# 시스템 기획
- 자격 조건 : 데이터 테이블 설계와 관리 전반에 대한 업무 역량을 보유한 사람
# 시스템 기획 및 데이터 작업
- Lua(스크립팅), Xml 데이터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
# 블루아카이브
- 시스템 컨셉을 기반으로 실제 데이터 작업
# 로스트아크 MOD 컨텐츠 기획 담당, 컨텐츠 데이터 작성 및 유지 보수
- 데이터 입력 및 유지보수 경험이 있으신 분
# 로스트아크 컨텐츠기획 담당, 비전투 컨텐츠 기획 및 데이터 관리
- 자격 조건 : 시스템 문서와 데이터 가이드 작성을 병행할 수 있는 분,
데이터 구조를 잘 이해하며, 개발 툴 사용을 원활히 하실 수 있는 분
# 시스템 및 데이터 테이블 기획
# 게임 디자인 (컨텐츠), 퀘스트 데이터 제작 및 관련 시스템 기획서 작성
# 콘텐츠/ 시스템 기획자
- 지원 자격 : 각족 기획 문서 및 데이터 최적화, 직관적인 데이터 테이블 제작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한 사람
# 시스템 기획자, 데이터 구조 추가 설계
- 지원 자격 : 기본 테이블 구조를 설계 및 이해하시는 분
중고 신입.
1~2년차는 실질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우리 대학교의 졸업생은 1~2년차의 경력으로 치는 경향이 있다.
엔진을 활용한 개발 또는 서비스 경험이 있는 분. 2~3년차를 뽑는 회사에 가도.
처음 회사에 가면 사수와 같은 사람들이 일을 알려주기 때문에 일에 적응할 수 있을 것.
회사에서 기획 해 보면 훨씬 재미있을 것.
처음부터 완전한 데이터를 원하지 말고, 부분적으로 온전한 데이터를 만드는 것이 시작이다.
프로그래밍 지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좀 더 편했을 것.
개개인마다 성취도가 다른 것은 당연한 것. 속도의 차이가 있어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대학생활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레벨디자인기초 15주차 - 기말평가 답안풀이 (0) | 2023.06.22 |
---|---|
게임음악작곡법 14주차 - 기말 과제 발표 (0) | 2023.06.22 |
게임알고리즘 13주차 - Red-Black Tree, B Tree (0) | 2023.06.21 |
게임프로그래밍고급 15주차 - 기말 시험 (0) | 2023.06.20 |
게임그래픽프로그래밍 14주차 - 재질과 텍스처 (0)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