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회차 반복 플레이를 위한 사냥터에서 목적지에 한 번 도착했다면, 이후에는 보스사냥 및 아이템 파밍을 위해 목적지에 쉽게 도착하게 하기 위한 숏컷을 만들려고 한다.
아래 위치 중 숏컷으로 가장 적당한 길은 무엇인가.
1_마을 중앙을 가로지르는 길
2_강을 건너 성 앞의 탑으로 갈 수 있는 길
3_마을 지하의 암시장인 하수도길
4_마법사 조력자가 만들어놓은, 성 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포털
1-2
위의 문제에서 해당 길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라.
2-1
아래에서 진입해서 붉은 선을 따라 동선이 진행되는 사냥터이다.
입구로 진입했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랜드마크를 어디에 배치할 것인가.
1_메인 퀘스트의 목적지
2_서브퀘스트의 목적지
3_서브퀘스트의 동선이 시작되는 곳
4_서브퀘스트 갈래길이 생기는 삼거리
2-2
위의 질문에서 해당 위치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라.
2-3
앞의 대답과 같이 랜드마크를 둔다면, 의도하는 플레이 진행 순서는 무엇인가. 각 지점의 플레이 순서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1. 0-3-1-4-2
2. 0-4-2-3-1
3. 0-3-4-2-1
4. 0-3-1-2-4
2-4
위의 답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라.
3-1
숨겨진 공간으로 갈 수 있는 포털이 존재하고, 이 포털은 열쇠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포털의 열쇠는 보물상자에서 찾을 수 있다.
다음 위치에서 포털 열쇠가 들어있는 보물상자는 어디에 둘 것인가.
1_쉽게 발견할 수 없는 숨겨진 공간
2_문을 열고 들어가야하는 방. 문을 열기 위해서는 열쇠를 찾아야 한다.
3_메인 동선에서 벗어난 방. 구석구석을 뒤지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렵다.
4_메인 동선에서 쉽게 접근 가능한 방.
3-2
위의 답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라.
4-1
던전 내의 포털로 이동가능한 곳은 여섯 곳이 존재하고, 포털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열쇠가 필요하며, 포털 열쇠는 5개만 생성된다.
이 경우, 포털을 동작시키기 위한 열쇠는 어떤 장소에 숨길 것인가. 열쇠를 구할 수 있는 보물상자의 위치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라.
4-2
위와 같이 대답한 것과, 열쇠와 포털의 수가 맞지 않는 것을 고려할때, 이 던전의 플레이 컨셉은 무엇인지 설명하라.
4-3
위의 던전에 문을 추가하려고 한다. 위에서 설명한 컨셉을 살리기 위해서 문은 어떤 특성을 갖도록 넣을 것인지 설명하라.
5-1
보물상자는 던전 내에 5개가 존재하고, 각 보물상자에는 포털을 동작시킬 수 있는 구슬이 들어 있다. 구슬의 이름은 모두 동일하다. 구슬이 들어있는 보물상자의 이름은 모두 동일하다.
구슬을 포털에 지불하면 포털이 활성화되고, 이후 포털을 이용 가능하다. 포털로 이동 가능한 지점은 모두 여섯지점이며, 포털은 다섯 개만 존재하므로 모두 활성화시켜도 한 곳은 갈 수 없는 곳이 존재한다. 포털은 구슬로 활성화시킬 때, 이 포털이 어디로 보낼지 결정된다. (구슬로 활성화시키기 전에는 어디로 가는 포털인지 알 수 없다.) 하나의 포털이 한 곳으로 보내는 것은 아니다. (ex. 첫번째 석상은 av01로 보낼 수도 있고, av05로 보낼 수도 있다)
포털의 이름은 모두 동일하다. (문지기 석상)
위의 조건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하라. (엑셀에 입력)
5-2
포털이 보내는 도착좌표를 위한 이미지.
av01, av02, av03, av04, av05, av06은 포털이 보내는 도착좌표id임.
각 좌표에도 포털이 존재해서 출발점(문지기석상)으로 돌아올 수 있음.
5-3
위의 데이터 입력내용을 설명하라.
6
다음 상자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라 chest1 : 열쇠로 열 수 있고, 열면 '투명한 구슬'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chest2: 열쇠로 열면 전송함정에 걸려서 던전 밖으로 나간다. chest3: 열쇠로 열면 상자가 pc를 공격한다. 열쇠는 사라진다. chest4: 화려하게 장식된 귀중품을 보관하던 상자. 열쇠로 열 수 없고, 파괴되지 않는다.
chest1, 2, 3, 4를 각각의 id로 사용한다. (문자열id) 그 외의 이름등은 각자가 정한다.
7
RecipeData와 FoodData를 참조하여, 산초(i_pickled)가 60분동안 몇 개나 필요한지 계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