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주제 : 인문학 (+HCI)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
- 인문학 +HCI에 대한 이해
- 인간의 특성
- 의사결정(소비선택)의 3대 요소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이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 : Human Computer Interaction)은 사람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원리 및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HCI는 사람과 컴퓨터 시스템 간에 주고 받는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사람과 시스템이 좀 더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HCI와 관련된 학문 분야
- 사람에 대한 이해 필요 : 심리학/ 사회학/ 인지과학/ 문화인류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컴퓨터에 대한 이해 필요 : 전산/ 산업공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유용성의 원칙 : 경영학/ 신문방송학/ 문헌정보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사용성의 원칙 : 인지공학/ 인간공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감성의 원칙 : 인간의 감성과 밀접한 분야인 미학/ 감성공학/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HCI가 중요해지는 이유
컴퓨터 활용 초기 전문가 사용자에서 일반인으로 사용자가 확대 변화됨에 따라 쉽고 편리한 사용 방법이 요구됨
컴퓨터 개념이 확대되면서 일반적으로 우리가 PC라고 말하는 데스크탑 외에 휴대폰, 타블렛 PC, TV, 냉장고, 자동차, 키오스크 등 거의 모든 제품에 컴퓨터 칩이 탑재되면서 컴퓨터화 되고 있다.
> 사람들이 이러한 제품을 제대로 활용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HCI 관점에서 본 사람의 구조
디지털과 아날로그
- 디지털은 0과 1로 명확히 구분되는 단편적인 개별신호의 모임
- 아날로그는 구분하기 애매한 연속적인 신호의 모임
기계는 항상 정해진 계산의 결과값을 도출하지만,
인간은 다양하고, 불규칙하고, 정해진 결과값이 없다. (애매함/ 예측불허/ 수시변동)
- 성별/나이 등 물리적인 차이 존재
- 종교/문화 등 가치관의 차이 존재
- 성격/취향의 개인적인 차이 존재
- 감정/컨디션에 따른 차이 존재
- 성장(생활) 환경/ 경험에 따른 차이 존재
인간의 특성 - 본능/욕구
DNA에 각인되어 있는 데이터 및 욕구
- 위험에 대한 자동 반응/ 각성 (뜨거움/ 차가움/ 공포/ 위협 등)
- 기본적인 욕구 (식욕/ 수면욕/ 성욕/ 성취욕/ 소유욕)
- 본인/ 가족/ 집단에 대한 유대감 (이해관계, 애정관계, 친밀도)
- 기타 사회적인 성향 (명예/ 부/ 존재감 등)
인간의 특성 - 추론능력
- 오타가 난 데이터가 들어와도 조합해서 인지가 가능하다.
- 후천적인 교육/ 경험에 대한 데이터 축적/ 활용
- 추론 능력의 차이는 지적능력 + 축적 데이터
선택과 집중에 의한 차별화에 대한 이해
- 사람은 100% 완벽하게 정리된 결과물을 가지고 이해(판단)하지는 않는다.
- 확실하게 차별화되는 것을 정리해서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점의 좋아하는 맛있는 반찬, 보통 반찬 잔뜩)
인간의 특성 - 오류(편견/착시)
- 연장방향(확대)/ 역방향(축소)에 의한 착시
'대학생활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콘텐츠인문학 - 14주차 : 한 학기 진행한 내용 리뷰 (0) | 2025.06.04 |
---|---|
게임콘텐츠인문학 - 13주차 : 인문학과 게임 소재 (1) | 2025.05.28 |
게임콘텐츠인문학 - 11주차 : 빅데이터(Big Data)와 인문학 발표, 비교 분석 (0) | 2025.05.14 |
게임콘텐츠인문학 - 10주차 : 빅데이터(Big Data)와 인문학 (0) | 2025.05.07 |
게임콘텐츠인문학 - 9주차 : 콘텐츠 인문학 세미나 - 보완 결과 발표 (1)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