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개요
수업보다는 포트폴리오 만드는 시간을 드릴 예정. 따라서 청강은 크게 의미가 없다.
30분~1시간 정도 보기 좋은 문서 작성 요령을 간단히 알려드릴 예정. 피드백 진행 가능.
신입에게 많은 것을 기대하는 회사는 가지 않아야 한다.
신입에게 기대하는 것은 대체로 기본적인 것들이다.
강의계획서
- 실무에서 게임 디자이너가 하는 일과 개발 프로세스
- 시스템 설계와 설계문서 작성 요령
- 시스템 구현을 위한 목적 제시와 컨텐츠의 구성 계회
- 구현을 위한 구조설계와 필요한 데이터들의 연계성 정리
- 게임디자인의 컨셉과 시스템 연계의 논리적 구성 정리
- 포트폴리오를 위한 문서 작성법
- 신입과 주니어들에게 기대하는 작업과 필요한 소양
- 역량기술서 작성
- 자기소개서 작성
- 모의면접 대비 준비
수업 진행 내용
- 포트폴리오용 문서 작성 요령 : 포트폴리오용 문서와 개발문서의 차이.
- 파워포인트와 워드를 잘 쓰는 법.
- 역량기술서 작성 요령.
- 프로젝트 경험을 설명하는 개발문서
- 자기소개서 작성 요령
- 모의 면접 (면접시 자주 나오는 질문들)
- 지원분야에 맞는 개발문서(가상문서) 작성요령
포트폴리오 준비 방식
Docx, PPT, Excel. 이 중에서 제외한다면 Docx를 제외할 수 있다.
파워포인트를 발표 자료로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졌기 때문에 디테일이 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음을 참고할 것.
포트폴리오와 프로젝트
포트폴리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저 이런거 해봤어요"이다.
우리는 경력자가 아니고 신입이기 때문에 약간의 양념을 쳐서 "저 이런거 할 수 있어요"도 좋다.
프로젝트의 성격이 달라서 어려울 수 있지만, 프로젝트를 해 보고 협업을 해 봤음이 중요하다.
꼭 의미있는 경험을 해야 할 필요는 없다.
과제
한 학기동안 6개의 과제를 진행 예정. 첫주차에 전부 가져오면 학교에 오지 않아도 전부 출석을 인정 해 줄 수 있다.
- 자기소개서 : 자신에 대한 소개
- 역량기술서 : 보유 스킬 내용 정리
- 지망관련 개발문서 : 지망분야에 관련된 개발용 문서
- 프로젝트 개요문서 : 진행한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문서
- 프로젝트 개발문서 : 진행한 프로제트에서 자신이 작성한 개발 문서
- 경험한 프로젝트 정리 : 이제까지 진행한 프로젝트들 정리
수업 진행 및 평가
- 중간평가 - 3개 제출 * 자기소개서는 수업 중에 작성 예정.
- 기말평가 - 6개 제출
- 06주차 10월 03일 개천절 휴강
- 13주차 11월 28일 현장학습 대체 처리
- 15주차 수업 직전까지 과제 제출
평가 기준
- 출석 20 (출석 인정 사유 : 행정실 기준)
- 중간평가 40%
- 기말평가 40$
수업 진행 방식
수업 중 자신의 포트폴리오 내용 작성
작성한 문서 개별 피드백 진행
- 피드백을 희망하는 문서의 종류를 지정
- 피드백 희망 날짜 이전에 문서 작성 제출
간단한 문서 작성 요령 설명
늘 익숙한 맛. 비공개 카페 가입. 카페에 과제 제출. 자료는 카페에 업로드 예정.
다음 시간에는 프로젝트를 설명할 수 있는 문서를 준비
담당한 내용 / 컨텐츠 설명
수업시간 중에 3~4페이지 정도 작성해서 올려달라고 할 예정.
설문지 작성
지원하고 싶은 분야 (작성할 포트폴리오 내용) 중복체크 가능 | 위의 지원분야에서 기대하는 작업 내용. 실제로 무슨 일을 하게 될지 본인이 기대하는 작업의 세부 내용. 단답형이 아니라 가능한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
이제까지 들었던 수업 중 가장 인상적인 수업명(약칭이 아닌, 수강신청시 보이는 과목명을 적습니다). 가장 많이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과목. 가급적 지원분야와 연관된 과목이면 좋습니다. |
있다면, 무슨 수업이고, 무슨 내용인지 적습니다. | 포트폴리오 작성할 프로젝트 명칭을 적어주세요. (팀 명이 아닙니다. 프로젝트 명칭입니다. 정식명칭으로 표기법에 맞춰서 적습니다.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표기는 모두 같아야 합니다.) |
위에서 답변한 프로젝트에서 본인이 맡았던 분야를 모두 적어주세요. | 위에서 답변한 프로젝트의 내용을 포트폴리오로 작성한다면 무슨 내용을 쓸지 설명해주세요. |
당장 내년이 아니더라도, 취업하고 싶은 프로젝트의 장르나 특성이 있다면 설명해주세요.
|
시스템 디자인, 몬스터, 레이드 | 몬스터 행동 패턴 설계 : 몬스터의 공격 방식이나 파훼법을 작성하는 것이 제일 재미있었습니다. 애니메이션, 이펙트 고려 또한 재미는 있었지만 다소 어려워했던 것 같습니다. 레이드 기믹 설계 : |
게임레벨디자인기초, 게임데이터의설계, 게임음악작곡법, 게임그래픽프로그래밍기초, 게임배경음악과효과음, 게임레벨디자인심화, 게임기획과비주얼스크립팅, 게임음악작곡법&게임음악편곡법 | 게임데이터의설계 - 게임 데이터에 대해 이해하고, 직접 시스템에 맞는 데이터를 작성 해 보는 수업이었습니다. 해당 수업에서 이벤트에 맞는 데이터와 기획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게임배경음악과효과음 - FMOD에 대해 공부하고, 사운드 기획서를 작성하여 프로젝트에 실제 적용 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게임기획과비주얼스크립팅 - 언리얼을 사용하여 직접 작성한 기획서에 맞는 게임을 제작 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BT, 언리얼 기능을 사용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
ALMA, Project:P, Veni | ALMA : PM, 시스템 디자인, UI 디자인, 몬스터 디자인, 사운드 디자인 Project:P : PM, 시스템 디자인, UI 디자인, 보스 패턴 디자인, 사운드 디자인, 세계관 설정, 레벨 디자인 Veni : PD, 시스템 디자인, 레벨 디자인, 사운드 디자인 |
기존의 내용 일부를 떼다가 문서 작성 예시 정도로 사용하고, 실제 포트폴리오는 조금 다른 작성하게 될 것 같습니다. 몬스터 행동 패턴을 기획하고, 직접 구현해서 언리얼에서 돌아가게 만들어 배치 해 볼 생각입니다. |
MMORPG, 퍼즐/기믹 파훼식 레이드를 자주 내는 게임을 1순위로 지망하고 싶습니다.
퍼즐 장르와 리듬게임 장르도 관심은 두고 있지만, 당장은 지원 예정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