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수업

게임기획크리틱 13주차 - 캐릭터 설계와 세계관 설정

se.jeon 2023. 5. 30. 09:04
728x90
반응형

캐릭터 설계

스토리를 짤 때 처음 하는 것 : 주요 사건에서부터 시작한다.

캐릭터 : 사건에 등장하여 스토리를 끌고가는 주체.

 

캐릭터는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행동한다.

- 캐릭터의 목표는 무엇인가? : 마왕 퇴치

-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 : 검술을 익힌다. 필요한 인물들을 모은다.

- 목표로 다가가기 위해 결핍된 것은 무엇인가? : 몬스터를 잡으면서 경험치를 얻는다.

결핍된 것을 채워나가는 과정 : 게임 플레이

 

캐릭터의 결핍을 채워나가는 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 처음부터 결핍을 채워나가는 방식

- 캐릭터의 완성형 버전을 만들고 하나씩 빼면서 결핍을 만든다.

결핍을 채워나가는 과정을 처음부터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설계하면

초반에는 잘 되다가도 중후반부에는 확장에 문제가 생긴다.

완성된 캐릭터를 먼저 설계하면 가진 것을 제거해 가면서 스테이지를 구성하기 용이해진다.

 

캐릭터의 10개의 Feature/ variation가 있다면 > 10단계로 구분하여 성장하게 만든다.

전체적인 게임의 볼륨이 생성되고 적절하게 스토리(사건)를 분배할 수 있다.

 

캐릭터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새로운 사람을 하나 만든다고 생각하고 접근해야 함.

여러가지 성격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하며, 혈액형이나 별자리, MBTI 등도 좋은 접근이다.

 

특정 사건에 대해서 캐릭터가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할지 작성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ex) 영웅심을 테스트 해 보기 위해서 가상의 상황에 캐릭터를 놓고 설정 해 보기.

 

자캐 커뮤와 같은 것이 이러한 활동.

학교 다닐 때 하면 안 되는 두 가지.
- 파이널판타지 14
- 자캐 커뮤니티
둘 다 했는데 어떡하죠? 교수님 죄송합니다.

 

캐릭터의 비주얼적인 부분에서 Art팀과 협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게임 플레이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 아니라면 Art팀에 양보하는 것이 좋다.

 

Nier Automata에서 '요르하'라는 전투 부대원들이 안대를 하고 다니는 이유는?

- 게임플레이에 안대를 해야 하는 이유가 있는가?

- 캐릭터에 안대를 씌우자고 누가 제안했을까?

> "진실을 보지 못하는 자"들이라는 의미를 표현한 것임.

 

SEKIRO의 주인공 외팔이 닌자 늑대.

- 다양한 닌자술을 쓰기 위해 의수를 사용함 > 기계적인 방법으로 이용

- 다른 소울 시리즈와 차별화가 되는 이동 시스템 (고공 침투 및 점프 등)

> 의수는 누가 제안했을까?

 

세계관 설정

세계관이란?

- 시간적, 공간적 배경

- 특별한 사건

- 그 시간과 공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상, 이념, 가치관, 정치, 종교, 역사 등 세계가 갖고 있는 특징

 

세계관에 의해 게임 플레이로 구현이 불가능하거나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 증기와 기계로 대표되는 '스팀펑크' 세계관에서는 기계장치 탈것을 이용해야 한다. 마법처럼 순간이동은 불가능.

 

개연성

개연성 :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확실성 또는 가능성의 정도.

세계관 설정은 개연성의 문제다.

이미 익숙한/ 개연성이 충분할 때 유저에게 쉽게 설명되는 세계관이 된다.

 

좀비가 창궐한 세상에서 개연성 있는 플레이는?

- 좀비를 피해 생존하는 것

- 백신을 찾는 것

- 인간을 약탈하는 것

 

전쟁의 민간인 생존자들이 모인 피난처에서 개연성 있는 플레이는?

- 군인의 입장 : 총 쏘고, 죽이는 것.

- 민간인의 입장 : 살아남기, 다른 사람을 약탈하거나, 다른 약탈자를 피하고, 물건들을 수집하고 필요한 물품을 제작하는.

 

새롭고 독특한 세계관은 유저들에게 쉽게 이해되지 않아 설명하는데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 한다.

 

기계 생명체가 돌아다니는 세계에서 개연성 있는 플레이는?

- 왜 활과 창만 써야 하는지.

- 왜 기계생명체가 돌아다니는지 설명을 해 주어야 함.

- 수집품을 집었더니 스토리가 흘러나오는 등.

 

새롭고 독특한 세계관이라도 개연성이 확보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하데스에서는 주인공 자그레우스가 죽어도 계속 살아난다.

- 로그라이크 장르니까 당연한가?

- 자그레우스는 지옥의 신 하데스의 아들이다.

- "왜 죽은 캐릭터가 다시 계속 살아나는가?"에 대한 개연성이 대단히 잘 갖춰져 있다.

 

다음 주 유니티 실습.

그레이박싱, 프로토 타입 제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