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수업

게임콘텐츠인문학 - 13주차 : 인문학과 게임 소재

se.jeon 2025. 5. 28. 16:17
728x90
반응형

지난 시간 수업 내용 복습 및 추가 내용 설명 진행

인간의 특성 - 의사결정 (소비선택)

- 인간은 어떤 기준으로 의사결정을 할까?

- 특히 소비선택은?

- 인간의 소비선택의 특성을 이해하면 더 성공적인 제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 인간은 과연 의사결정이 매번 논리적일까?

 

3가지 원칙

유용성, 사용성, 감성의 원칙은 3가지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에서 인간은 최종 결정에서 감성에 치우치는 성향이 있다.

이성적인 판단을 하려고 하지만, 실제 언행은 감성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다.

 

- 유용성 : 필요한가, 쓸모가 있나?

- 사용성 : 편한가?

- 감성 : 마음이 끌리는가?

유용성의 원칙

유용성은 사람들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자신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그 활용이 본인의 목적에 맞는 기능과 값어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ex) 예시를 들어보자

- 쇼파/ 침대 유용성은? 편한 자세로 앉거나 누워서 지낼 수 있어야 한다.

- 트럭의 유용성은? 튼튼해야 하고,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구현해야 한다.

- 게임의 유용성은? 시간가는 줄 모르고 즐겁고 재미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사용성의 원칙

사용성은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배워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하기 쉽고 편리/편해야 한다.)

 

ex) 예시를 들어보자

- 노인들을 위한 건강기구의 메뉴얼이 200페이지? 젊은 사람도 못 배운다! 간단하고 쉬워야 한다.

- 쇼파/ 침대가 불편해서 오래 앉거나 누워있지 못한다면? 편하려고 샀는데, 의미가 없게 되어버린다.

-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게임의 사용성은? 키 조작이 단순, 편리해서 체형(어른/아이)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어야 한다.

감성의 원칙

감성은 사람들이 마음속에서 얼마나 적절한 느낌을 받았는지를 의미한다. ("필"이 진하게 오도록 하는 것)

 

ex) 예시를 들어보자

- 스포츠카의 감성은? 화려한 디자인과 멋진 엔진 소리 등으로 마음을 끄는 감성을 느끼게 해야 한다.

- 게임의 캐릭터/ 배경은? 배경이나 캐릭터는 멋있고/ 귀엽고/ 웅장하고 등 특성에 맞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감성을 자극해야 한다.

의사결정(소비선택)의 시사점

- 제품/ 서비스를 만들고 제공할 때는 유용성, 사용성, 감성의 원칙을 고려해야 한다.

- 3가지 원칙은 제품/ 서비스의 내용/ 형태 소비자 특성에 따라서 그 가중치의 비율은 변화된다.

- 일반적으로 감성을 무시하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인간은 이성적인듯, 그러나 비이성적 언행 귀결)

- 과거 재화/ 용역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던 시대에는 감성의 영역을 낮게 평가했음

- 최근에는 공급이 수요를 넘쳐나는 상황이라 단순한 유용성/ 사용성 비교로는 성공하기 힘들어짐

- 결국 인간이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 의사결정(소비선택)의 최종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침

- 감성 마케팅의 활성화 시대

인문학과 게임 소재

- 다양한 게임 소재의 장단점

- 게임 소재 활용 실습

 

게임 소재 분석 - 판타지 (Fantasy)

마법, 초자연현상, 신화 등의 요소를 가미하여 구성한 예술 분야

장점 : 이야기 주제, 소재, 구성, 전개, 내용 등에서 자유로운 상상력을 가미할 수 있다. 자유도가 높다.

단점 : 판타지 장르의 남발로 어설픈 스토리는 금세 식상할 수 있다. 판에 박힌 듯한 비슷비슷한 이야기 구조, 상상력의 빈곤, 기존 창작물 베끼기가 많다.

 

게임 소재 분석 - SF (Science Fiction)

과학적인 이야기에 기반한 공상과 상상을 엮어서 풀어가는 소재

장점 : 과학 + @가 무궁무진함. 확장성이 용이하고 현재와 미래를 복합해서 흥미를 유발하기가 쉬움.

단점 :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거나 전체 이야기 구조상 논리의 일관성이 부족할 경우 조잡할 수 있다.

 

게임 소재 분석 - 전쟁

인류 역사 이래 전쟁은 끊임이 없었고, 전투에 대한 자극적인 호기심을 유발함.

장점 : 인간의 파괴 본능을 강하게 자극함. 역사의 중요한 전쟁 이야기를 엮을 수 있음.

단점 : 전쟁에 거부감을 느끼는 대상이 존재함. 잔혹성과 사실성의 이중적인 면을 표현해햐 하는 문제 (등급)

 

게임 소재 분석 - 스포츠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활용함.

장점 : 연령, 지역, 문화에 큰 문제 없이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음.

단점 : 스포츠에 관심 없는 대상에게는 완전히 외면된다. 종목별 관심편차가 심하다.

 

게임 소재 분석 - 스포츠

역사적 사실과 자료에 근거해서 구성됨.

장점 : 역사적 사실에 근거(누구나 이해하는 과거)함.

단점 : 사실이라 제한적 요소만 활용됨 (창의성이 제한됨). 역사왜곡 문제 유발 가능성.

 

게임 소재 분석 - 신화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기반으로 가공된 이야기.

장점 : 설화에 근거(창의적인 이야기 확대가 쉬움)함.

단점 : 참조할만한 실증 자료가 빈약함.

 

게임 소재 분석 - Faction

사실 (Fact) + 허구 (Fiction). 일부 사실에 근거해 이야기를 전개하지만, 내용의 상당 부분은 상상력에 의한 허구로 구성됨.

장점 : 진실과 허구의 영역을 넘나들며 사람들의 지식과 상상력을 자극해 흥미를 유발함.

단점 : 진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 허구를 진실로 받아들여 왜곡할 여지가 있다.

 

게임 소재 분석 - 기타
- 게임 소재;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무궁무진함

- 기능성 소재(유용한 역할 + 소재) : 의료/ 건강/ 헬스/ 다이어트/ 교육/ 국방/ 공공

- 생활형 소재 - 생활 : 먹고, 마시고, 만나고, 놀고, 자고

- 생활형 소재 - 심리 : 사랑, 성장, 증오, 기쁨, 외로움, 배신

- 생활형 소재 - 사회 : 가정, 부부, 학교, 회사, 동아리, 사건/ 사고, 정치/ 이념

- 생활형 소재 - 성공 : 재테크, 각종 투자, 경영, 자기계발

 

 

728x90
반응형